안녕하세요~ 우선 저의 블로그를 찾아주셔서 감사인사드립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는 제가 좋아하는 방송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건강, 음식, 생활과학, 실생활경제를 포함 각 가지 생활정보 등 실생활에 꼭 필요한 아이템을 선정,

스튜디오에 전문연사를 초대해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는 한편, VCR 취재를 통해 현장감 잇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화상담석,

시청자전화 등을 마련, 시청자와 함께 교감하는 방송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1세기 정보화시대를 맞아, 쏟아지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 오히려 갈 길을 잃기 쉬운 요즘, 요일별로 다양하고 세분화된 아이템을

시의적절하게 선정하여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함으로써 타방송 채널과 차별화 하고 있습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제작진은, '전통'이란 이름으로 포장된 구시대적인 방송이 아니라, 새로운 정보와 함께 늘 거듭나는 방송,

시청자 피부에 직접 와 닿는 생생한 정보전달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요약 : 시사교양 / 1983년 10월 31일부터 방송중입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편성 : [지상파TV] KBS1TV 매주 월~금 오전 10시 00분부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진행 : 이재홍, 이선영

건강, 음식, 생활과학, 실생활경제를 포함 각 가지 생활정보 등의 정보를 전문연사를 통해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는 정통교양정보 프로그램이다.

 

 

◆ 기획 의도 ◆

맛있는 밥도둑 젓갈, 건강하게 먹는 법

겨울철 김장 준비는 젓갈 담그기부터 시작이다. 유산균이 톡톡 살아 있어 맛과 건강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젓갈.

젓갈은 숙성 기간 중에 자체에 있는 자가분해효소와 미생물이 발효하면서 생기는 유리아니노산과

핵산분해 산물이 상승 작용을 일으켜 특유의 감칠맛이 난다.

작은 생선의 뼈나 새우, 갑각류의 껍질은 숙성 중에 연해져서 칼슘의 좋은 급원식품이 되기도 한다.

옛날 산촌에 새우젓장수가 들르면 처녀는 중신아비 들르는 것보다 반갑고, 서방님은 장모 들르는 것보다 반가웠다는 속담이 있다.

그만큼 젓갈은 한국 사람이 흰밥을 목구멍에 넘길 수 있는 최소 단위의 건건이요,

오랜 빈곤 속에서 수 천년을 살아낼 수 있었던 최저의 생존조건이었다. 한 번 담그면 1년의 밥상을 책임지는 젓갈.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서 김장을 대비하는 젓갈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봅니다.

 10월 27일 (월) 맛있는 밥도둑 젓갈, 건강하게 먹는 법

◆ 젓갈류의 분류

◆ 젓갈! 맛있게 건강하게 먹는 법!

◆ 조개젓갈 쌈밥

① 재료 소개

재료  : 조개젓 200g, 오징어 한 마리

양념 재료 : 고춧가루 1작은 술, 청양고추 1/2개, 홍고추 1/2개, 다진 마늘 1작은술, 매실액 1작은 술

 ② 요리 순서

1. 조개젓을 채에 받쳐 충분히 물기를 뺀다

2. 오징어는 껍질을 벗겨 곱게 채썰고, 다시 길이 3~4cm로 썬다

3. 분량의 양념장을 섞어 준비한다

4. 모두 섞어서 1~2일 간 숙성을 시킨다.

   

◆  저염식 젓갈을 만드는 음식 재료 궁합


◆  새우젓 담기

① 재료 소개

재료 : 새우 1kg, 소금 300~500g

② 요리 순서

1. 새우를 물에 10 ~ 20분가량 담그어 놓아 불순물을 제거한다.

2. 채반에 새우를 건져 물기를 뺀다.

3. 새우 1kg, 소금 300~500g을 넣고 새우에 골고루 잘 섞는다.

4. 이러한 방법으로 항아리(김치독)에 켜켜이 넣고 입구에 창호지(면보)로 봉하고 서늘한 곳에 발효될 때까지 보관한다.

   

◆ 새우젓의 종류


◆ 새우젓 호박찜

① 재료 소개

재료 : 호박 (둥근 것) 2개, 새우젓 2큰술

양념장 : 다진마늘 1작은술, 대파 1대, 고춧가루 1작은술, 매실액 1큰술

 

② 요리 순서

1. 호박을 1cm 두께로 두껍게 썬다.

2. 호박에 새우젓을 조금씩 올려서 5~6시간정도 재운다.

3. 호박에서 나온 국물에 모든 양념장을 넣고 만들고 대파는 어슷하게 썬다.

4. 냄비에 호박을 담으면서 한 켜씩 양념장을 올린다음 찜을 한다.

(약한 불에서 충분히 찜을 한다.)

   

◆ 어리굴젓

① 재료 소개

재료 :굴1근(작은 것), 천일염2큰술, 풋고추½개, 배50g, 밤3개,  무50g

양념 : 고춧가루2큰술, 참치액(젓갈)2큰술, 매실액1큰술, 다진마늘1큰술, 파2줄기, 통깨 약간

 

② 요리 순서

1. 소금으로 굴을 살살 주물러 씻어 굴껍질을 잘 골라낸다.

2. 씻은 굴을 소금 2큰술 살살 뿌려 5~7일정도 숙성시켜줍니다

3. 배, 무, 밤은 납죽하게 썰고, 고추는 납작하게, 파 송송썰어 준비

4. 2의 굴에 3의 재료 넣고 고춧가루, 참치액(액젓), 매실액 넣고 살살 무친다.

   

◆ 나트륨 섭취량

 

◆ 젓갈의 염도


◆ 가자미 식해

① 재료 소개

재료 : 가자미5마리, 무½개, 마늘1큰술, 파50g, 메조1컵, 엿기름⅔컵, 생강1쪽, 고춧가루½컵, 소금½컵, 액젓½컵

 

② 요리 순서

1. 가자미는 비늘을 긁어내고 머리와 꼬리를 떼고 내장을 뺀 다음 물에 씻어서 소금에 절여 하룻밤정도 재워놓는다.

(Tip. 꾸덕꾸덕말려야 삭았을 때 살이 풀어지지 않는다.)

2. 무는 씻어서 젓가락 굵기로 썰어 소금에 절여 준비한다.

(Tip. 뽀송뽀송하게 말려야 물이 덜 생긴다.)


3. 파, 마늘, 생강은 곱게 다진다.

4. 엿기름은 빻아서 고운 체에 내려 가루를 만들어 놓는다.

5. 좁쌀은 깨끗이 씻어 잘 일어 된밥을 지어놓는다.

6. 절인가자미는 헹궈서 물기를 완전히 빼거나 꾸덕꾸덕 말린다

7. 절인 무도 소금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짜놓는다.

8. 가자미는 큼직하게 토막을 내 놓는다.

9. 넓은 그릇에 무를 넣고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리고 붉은 물이 드면 조밥, 파, 마늘, 생강, 가자미를 넣고 고루 섞고, 엿기름가루를 넣어 다시 버무린다.

10. 항아리에 버무린 재료를 담아 꼭 눌러서 3-4일간 따뜻한 곳에 두어 삭힌다.

10월 27일 (월) 맛있는 밥도둑 젓갈, 건강하게 먹는 법

지금까지 겨울철 김장 준비는 젓갈 담그기부터 시작이다. 유산균이 톡톡 살아 있어 맛과 건강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젓갈.

젓갈은 숙성 기간 중에 자체에 있는 자가분해효소와 미생물이 발효하면서 생기는 유리아니노산과

핵산분해 산물이 상승 작용을 일으켜 특유의 감칠맛이 난다.

작은 생선의 뼈나 새우, 갑각류의 껍질은 숙성 중에 연해져서 칼슘의 좋은 급원식품이 되기도 한다.

옛날 산촌에 새우젓장수가 들르면 처녀는 중신아비 들르는 것보다 반갑고, 서방님은 장모 들르는 것보다 반가웠다는 속담이 있다.

그만큼 젓갈은 한국 사람이 흰밥을 목구멍에 넘길 수 있는 최소 단위의 건건이요,

오랜 빈곤 속에서 수 천년을 살아낼 수 있었던 최저의 생존조건이었다. 한 번 담그면 1년의 밥상을 책임지는 젓갈.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서 김장을 대비하는 젓갈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맛있는 밥도둑 젓갈, 건강하게 먹는 법 이었습니다.

이렇게 좋은 정보를 알려주시는 KBS 1TV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제작진 여러분에게 감사 인사드립니다.